2025/03/06 3

林園經濟志 (서유구 지음)

2017년 헌법재판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이 나던 날부터 고농서 공부모임을 시작하고 벌써 2년이 지났다. 첫 시작 공부는 세계 최초의 농업서적으로서 기원전 1세기에 범승지라는 사람이 쓴 중국의 범승지서氾勝之書였다. 그리고 바로 조선 최초의 농서로서 세종대왕이 국책으로 발행한 농사직설(1429, 정초)을 거쳐, 세조 때 정승을 지내다 은퇴 후 고향인 금양(지금의 경기도 시흥)으로 내려와 강희맹이 쓴 금양잡록(衿陽雜錄)을 읽고, 절기별로 농사 일정을 정리한 농가월령(1590, 고상안) 강독 후 지금은 풍석 서유구 선생이 쓴 임원경제지(林園經濟志, 1842)의 첫 번째인 본리지의 토양편을 읽고 있다.16개 분야로 쓰여있어 임원십육지라고도 하는 임원경제지는 총 113권 5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. 농업백과..

고古농서 2025.03.06

똥, 세상에 인사하다

농식품부 aT공사(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)에서 ‘2019년 로컬푸드 기반 사회적모델 지원 사업’에 퇴비관리사 양성을 주제로 선정된 적이 있었습니다. 먹거리 사업에 거름 얘기는 좀 도발적이었죠. 올해도 연속사업이 떴기에 이번엔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음식물거름만들기 주제로 신청했더니 또 선정되었지 뭡니까? 거름 얘길 연속해서 받아 줄지는 기대하지 않았어요. 내 손으로 거름 만들기 운동을 20년 가까이 해 오는 동안 이렇게 중앙부처인 농식품부의 인정을 받았다는 것은 제겐 참으로 감사한 일이었습니다. 더 황당한 일은 사업결과 공유회 때 거름 얘기가 우수사례로 뽑혀 발표까지 하게 되었다는 겁니다. 솔직히 난감한 마음 없지 않았어요.이왕 하는 거 잘 하고 싶었습니다. 평소와 달리 정성껏 발표 자료를 만들고 두 번이나 ..

똥에게 갈채를 2025.03.06

뒷간 AS 똥 친 이야기

올 봄 경기도 원당 농협대학 부지에 조성한 경기도시농업공영농장에 뒷간을 납품한 적이 있었습니다. 목공도 하고 농사도 잘 짓는 강동의 남시정 대표님이 외관을 제작해 주고 내부 장치들은 제가 제작해 설치했지요. 겨울이 되어 농장도 문 닫고 뒷간엔 똥오줌이 차니 치워달라는 AS 부탁이 왔습니다. 대개는 농장 운영측에서 치는데 인분퇴비를 쓸 사람도 없고 전담 관리담당이 따로 없이 행정하는 분들이 관리하다보니 엄두가 나지 않았던 모양입니다.그런데 도와주기로 했던 분이 별안간 다쳐서 저 혼자 갈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. 똥 치는 일은 저희 농장이나 제 집에도 뒷간이 있어 늘 하던 일이라 문제는 없으나 그 뒷간은 주차장에서 좀 떨어져 있어 자재나 필요 기구를 들고 갈 자신이 없었죠. 그렇다고 갑자기 똥 치는 일을 부..

똥에게 갈채를 2025.03.06